반응형
안녕하세요. 얕은지식입니다.
코스레이팅(Course Rating)과 슬로프레이팅(Slope Rating)은 모두 골프장의 난이도를 평가하는 지표이지만, 기준과 의미가 다릅니다. 아래에서 두 지표의 의미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용어 설명

- 코스레이팅은 스크래치 골퍼가 정상적인 조건에서 해당 코스에서 몇 타를 칠지 예측한 값입니다. 예를 들어 코스레이팅이 71.2라면, 핸디캡 0인 골퍼가 71.2타를 칠 것으로 예상한다는 뜻입니다. 파(72)보다 낮으면 쉬운 코스, 높으면 어려운 코스입니다145.
스크래치 골퍼의 정의와 필요 조건
안녕하세요. 얕은지식입니다.골프에서 '스크래치 골퍼'는 핸디캡 지수가 0.0인 선수를 공식적으로 지칭하며, 이는 미국골프협회(USGA)와 R&A의 합동 규정에 의해 명확히 정의됩니다. 2023년 기준 전
678.9manual.com
- 슬로프레이팅은 보기 플레이어(핸디캡 18)가 그 코스를 얼마나 어렵게 느끼는지를 수치화한 것으로, 표준값은 113입니다. 이 값이 높을수록 아마추어에게 더 까다로운 코스임을 의미합니다. 슬로프레이팅은 55~155 범위에서 표시되며, 113보다 높으면 상대적으로 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125.
차이점 요약
구분 | 코스레이팅 (Course Rating) | 슬로프레이팅 (Slope Rating) |
기준 골퍼 | 스크래치 골퍼 (핸디캡 0, 이븐파 실력자) | 보기 플레이어 (핸디캡 18, 평균 90타 아마추어) |
의미 | 해당 코스에서 스크래치 골퍼가 기록할 예상 평균 타수 | 보기 플레이어가 코스에서 느끼는 상대적 난이도 |
기준값 | 대개 파(72)에 근접 | 113 (이보다 높으면 더 어려운 코스, 낮으면 쉬운 코스) |
수치 해석 | 높을수록 어려운 코스, 낮을수록 쉬운 코스 | 113보다 높으면 아마추어에게 더 어려운 코스 |
주요 활용 | 핸디캡 산정, 코스 난이도 비교 | 핸디캡 산정, 아마추어 간 공정한 경쟁 도모 |
같은 골프장에서 두 지표가 다른 이유

같은 파 72홀이라도 코스레이팅과 슬로프레이팅이 서로 다른 이유는, 각 골프장의 코스 설계, 환경, 장애물, 거리, 지형 등 난이도 요소가 다르기 때문입니다. 즉, 파(72)는 단순히 홀의 합계 기준일 뿐, 실제 플레이 난이도는 코스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같은 파72라도 코스의 설계와 환경적 요소에 따라 실제 난이도가 달라져 코스레이팅과 슬로프레이팅이 서로 다르게 산정됩니다. 이 두 수치는 골프장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고, 공정한 핸디캡 산출을 위해 사용됩니다.
Citations:
- https://blog.naver.com/jngolf/221289843464
- https://www.ksilbo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87296
- https://blog.naver.com/kijole/150108465655
- https://www.mindgolf.net/141
- https://papahun.com/%EC%BD%94%EC%8A%A4%EB%A0%88%EC%9D%B4%ED%8C%85course-rating%EA%B3%BC-%EC%8A%AC%EB%A1%9C%ED%94%84%EB%A0%88%EC%9D%B4%ED%8C%85slope-rating-%EC%99%84%EB%B2%BD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/
- https://brunch.co.kr/@protaehoonkim/8
- https://www.golfin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833
- https://cafe.daum.net/imcanada/EY8H/77?q=D_nkDM8IgstNA0
반응형
'골프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언 샷 정확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 연습 가이드 (3) | 2025.05.20 |
---|---|
골프 클럽에서 로프트의 의미 (0) | 2025.05.19 |
골프에서의 시간 관련 규칙 (0) | 2025.05.16 |
골프 퍼터 넥의 종류와 특징 분석 (2) | 2025.05.12 |
골프 스윙에 쓰이는 근육에 대한 분석 (0) | 2025.05.11 |